드디어 크로포트킨 자서전을 다 읽었다. 끝 부분에 역자가 써 놓은
크로포트킨과 그의 시대에 대한 소고만 남았고 그것도 절반은 읽은 상태고.
1880년대의 행동적 아나키즘 완성의 주역은 크로포트킨이었다고 해.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무정부주의"가 "테러리즘"과 동의어인 것처럼
인식된 것은 행동적 아나키즘 때문이라고 하지. 민중 봉기가 가장
좋은 프로파간다라는 주장 때문이라지.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크로포트킨은 폭력을 싫어하던 사람이었어.
상황이라는 것이 그에게 그런 이상한 지위를 부여한 것이겠지.
행동적 아나키즘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완성했지만, 그것이 사용된
것은 급진적이고 과격한 아나키스트들에 의해서였으니까. 그것이
아나키즘의 전부도 아니었고, 오히려 작은 일부분이었다고 할 수 있겠지만,
대중은 그렇게 봐 주지 않았고 거기에 기득권의 공작이 합쳐지고 나니
아나키즘은 곧 테러리즘이 돼 버렸어.
크로포트킨과 그의 시대에 대한 소고만 남았고 그것도 절반은 읽은 상태고.
1880년대의 행동적 아나키즘 완성의 주역은 크로포트킨이었다고 해.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무정부주의"가 "테러리즘"과 동의어인 것처럼
인식된 것은 행동적 아나키즘 때문이라고 하지. 민중 봉기가 가장
좋은 프로파간다라는 주장 때문이라지.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크로포트킨은 폭력을 싫어하던 사람이었어.
상황이라는 것이 그에게 그런 이상한 지위를 부여한 것이겠지.
행동적 아나키즘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완성했지만, 그것이 사용된
것은 급진적이고 과격한 아나키스트들에 의해서였으니까. 그것이
아나키즘의 전부도 아니었고, 오히려 작은 일부분이었다고 할 수 있겠지만,
대중은 그렇게 봐 주지 않았고 거기에 기득권의 공작이 합쳐지고 나니
아나키즘은 곧 테러리즘이 돼 버렸어.